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고사리로 밥을 짓는다고? 놀라운 고사리밥

by TREND& 2025. 11. 19.

고사리밥 | 나물 중 고사리를 주재료로 하는 전통 밥상
Bracken Fern Rice (Gosari-bap): A Taste of the Mountains

 

‘고사리’라고 하면 많은 이들이 제사 음식이나 잡채 속 한 줄기를 떠올린다. 그러나 고사리는 단순한 부재료가 아니다. 우리 조상들은 봄이면 산으로 올라가 고사리를 꺾었고, 그 고사리를 삶아 말려 저장해 한 해 내내 밥상에 올렸다. 고사리는 나물의 대표격이자, 한국인에게 가장 익숙하면서도 동시에 점점 멀어지고 있는 식재료다. 이 글에서 소개할 음식은 바로 ‘고사리밥’이다. 흔히 고사리를 곁들인 밥이 아닌, 말 그대로 고사리가 주재료인 밥이다. 고사리를 아끼지 않고 넣고, 고사리의 향과 식감을 살려쌀과 함께 지은 향토 전통 식사다. 한 그릇의 고사리밥은 봄날 산속의 냄새, 입안에서 풀리는 섬유질의 식감, 양념장을 비벼 먹을 때 퍼지는 고소함까지 자연의 시간과 사람의 손길이 고스란히 담긴 음식이다.

 

어디서나 자라는 식물, 고사리의 매력

고사리는 우리나라 들과 산 어디서나 자라는 대표적인 야생식용 나물로, 양치식물의 일종이다.

항목 설명
학명 Pteridium aquilinum
분류 양치식물 (고사리과)
생육 환경 산지, 계곡, 양지바른 곳
채취 시기 봄철 (4~6월 초순)
특징 잎이 펼쳐지기 전 어린 순만 식용 가능
독성 생으로 먹을 경우 발암 가능성 → 반드시 삶아서 사용

 

고사리는 생으로 섭취하면 안 되며, 끓는 물에 데쳐 우려내고 말려서 보관해야 한다.
한국에서는 고사리를 삶아 말린 후 마른나물 형태로 유통하며, 그걸 물에 불려 나물, 탕, 찌개 등에 활용한다.

 

고사리밥이란?

고사리밥은 단순히 밥 위에 나물을 올리는 것이 아니라 불린 고사리를 밥 짓는 과정에서 쌀과 함께 넣고 지어낸 밥이다.

고사리 특유의 섬유질 식감과 들향(들냄새)이 밥 전체에 스며들며 특별한 양념 없이도 깊은 맛을 낸다.

 

고사리밥은 주로

  • 전라도, 경상도 산간 마을
  • 제주도 밭농가
  • 강원도 농가 밥상 등지에서 전해져 내려오며, 도시에서는 거의 사라져버린 밥 문화 중 하나다.
구분 설명
주재료 고사리, 쌀, 물, 약간의 참기름
색상 연갈색~고동색 고사리 / 흰쌀밥
들냄새 + 나물 특유의 흙향
식감 쌀의 부드러움 + 고사리의 오도독함
구수함, 담백함, 깊이 있는 감칠맛
대표 양념 간장+참기름+다진파+마늘 양념장 or 고추장 비빔

 

고사리밥의 역사와 문화

고사리밥은 가난했던 시절, 쌀이 귀하던 시절, 자연에서 구할 수 있는 식재료로 한 끼를 해결하던 생존형 음식이자 향토적 풍미의 대표였다.

봄철 산나물 채취철이 되면 동네 어르신들이 직접 고사리를 꺾어 삶고 말려 저장했고, 이 고사리는 여름~겨울까지 밥상에 올라왔다.

 

고사리밥은 특히

  • 농번기 도시락 반찬
  • 제사 다음 날 나물 활용 밥상
  • 밥솥 하나로 해결하는 농가식 밥 으로 자주 등장했다.

지금은 희귀해졌지만, 기억하는 이들에게는 그리운 한 그릇이다.

 

고사리밥 만드는 법

재료 (2인 기준)

  • 불린 고사리 150g
  • 쌀 2컵 (불려두기)
  • 참기름 1스푼
  • 소금 약간
  • 물 2컵 반

※ 양념장 (간장양념 or 고추장): 간장 3, 참기름 1, 다진마늘 0.5, 다진파 1, 통깨, 고춧가루 약간

 

조리 순서

  1. 고사리를 깨끗이 씻은 뒤 4~5cm 길이로 자른다.
  2. 팬에 참기름을 두르고 고사리를 볶는다 (2~3분)
  3. 불린 쌀을 씻어 밥솥에 담고 볶은 고사리를 넣는다.
  4. 물을 붓고 평소 밥 짓듯 취사한다.
  5. 다 지어진 밥은 한 김 식힌 뒤 살살 섞는다.
  6. 양념장을 따로 만들어 곁들인다.

고사리밥의 맛 구조

  • 첫 입: 구수한 밥 향 + 고사리의 부드러운 향
  • 중간: 고사리 씹을 때 느껴지는 오독오독한 질감
  • 끝맛: 양념장이 퍼지며 고소하고 짭짤한 감칠맛 완성

특히, 양념장 없이 먹으면 자연식 느낌, 양념장을 더하면 비빔밥 느낌으로 변신 가능하다.

항목 고사리밥 나물비빔밥 산채비빔밥
주재료 고사리 중심 다양한 나물 산채+고추장
조리법 고사리+쌀 동시 취사 나물 따로 삶아 밥에 얹음 나물 볶아 비빔용으로 제공
고사리 본연 향 양념장 중심 향 고추장 중심 향
식감 부드럽고 단단함 나물마다 상이 쫀득하고 매콤함
특징 담백함 중심 비빔 스타일 산채+매운맛 강조

 

고사리밥은 단순히 나물 넣은 밥이 아니라 자연을 먹는 방식이며 전통의 지혜가 담긴 한 그릇이다.

  • 농사를 짓던 손이 먹던 밥
  • 산에서 채취해 가족과 나누던 밥
  • 들기름과 간장으로 자연을 양념하던 밥

이런 고사리밥은 도시의 속도에 잊히고 있는 밥상 문화다. 지금이라도 다시 배우고, 기록하고, 만들어야 한다.

 

자주 묻는 질문

Q. 고사리는 어디서 구하나요?
→ 마트, 건나물 시장, 온라인 쇼핑몰에서 말린 고사리 구매 가능

 

Q. 고사리밥은 냉동보관 가능한가요?
→ 가능, 소분해 얼리면 2주 보관 후 전자레인지 데움

 

Q. 어떤 양념이 제일 잘 어울리나요?
→ 간장+참기름 양념장이 가장 전통적이며, 고추장도 가능

 

Q. 잡곡밥으로 해도 되나요?
→ 가능, 흑미나 현미도 고사리와 잘 어울림